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테크니컬 스토리

아이티마야의 새로운 기술 뉴스를 만나보세요.
기술자료
Linux Log 확인 방법 Linux Log 관리 방법 Linux Log 확인 방법 OS: Centos7 💡 로그 관리는 시스템의 안정성 및 보안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부분입니다. 로그는 시스템 이벤트 및 활동에 대한 기록을 제공하여 문제 해결 및 감시를 도와줍니다. 아래는 CentOS 7에서 로그 관리를 위한 몇 가지 중요한 측면과 도구에 대한 설명입니다. 로그 위험도 1. Deb... 2024.04.03
LVM 이란 LVM 사용 방법 LVM 이란 LVM이란 ● Logical Volume(LV)을 효율적이고 유연하게 관리하기 위한 기능입니다. ● 여러 물리 디스크를 하나의 볼륨 그룹으로 만든 후, 다시 논리적 볼륨으로 나누어서 사용합니다. 장점 ● 유연한 용량 논리 볼륨을 사용하는 경우 장치 및 파티션을 단일 논리 볼륨에 집계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파일 시... 2024.03.04
윈도우 server 네트워크 티밍 (Network Teaming) 두 개의 NIC를 이용한 독립 전환 이중화 방법(Active/Standby) 윈도우 server 네트워크 티밍 (Network Teaming) 네트워크 티밍(Network Teaming) 이란? 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결합하여 하나의 가상 인터페이스로 동작하게 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 시키고, 고 가용성을 제공하며, 부하 ... 2024.01.31
Linux에서 서버 상태를 파악해 보자. IpmiTool 사용 방법. Linux에서 서버 상태를 파악해 보자. IPMI(Intelligent Platform Management Interface)란, ●서버 관리를 위한 관리 인터페이스로 원격지나 로컬 서버의 상태를 파악하고 제어할 수 있는 유틸리티입니다. 💡 모든 서버에는 네트워크 관리자 포트가 따로 탑재되어 있어, 노트북을 이용하여 해당 서버에... 2024.01.02
Docker swarm으로 mlflow를 쉽게 구성해 보자. docker swarm 구성 장점. Docker swarm으로 mlflow를 쉽게 구성해 보자. Mlflow의 주요 특징 및 용어 MLflow는 오픈 소스 머신 러닝 라이프사이클 관리 도구로, 모델 훈련, 추적, 협업, 그리고 모델 배포를 간단하게 관리할 수 있게 해 줍니다. MLflow는 모델 훈련 코드, 파라미터, 메트릭, 모델 아티팩트 등을 추적하며,... 2024.01.02
오픈소스로, 자원관리를 통해 이중화가 가능한 Pacemaker를 알아보자. Master/Slave로 Pacemaker를 설치해보자. 오픈소스로, 자원관리를 통해 이중화가 가능한 Pacemaker를 알아보자. Pacemaker란, 고가용성 클러스터 자원관리 오픈소스입니다. 여러 대의 서버를 클러스터로 묶어 자원관리를 통해 이중화가 가능한 소프트웨어입니다. Pacemaker의 기능들 (Fail Over)하나의 노드가 장애가 생겼을 때... 2024.01.02
PCMemtest를 사용해서 메모리 테스트 OS에서 간단히 Memory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습니다. PCMemtest를 사용한 메모리 테스트 PCMemtest 메모리 장애점검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오늘은 그중 하나인 PCMemtest를 안내해 드립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서버의 메모리를 전문 엔지니어가 아니더라도 PCMemtest를 사용해 매우 간단하게 점검할 수 있습니다. PCMemte... 2023.12.06
여러 대의 클러스터 서버들을 간편하게 모니터링, 관리할 수 있는 오픈소스를 알아보자. Ganglia라는 오픈소스를 구성해 보자. 여러 대의 클러스터 서버들을 간편하게 모니터링, 관리할 수 있는 오픈소스를 알아보자. Ganglia란, 클러스터 및 그리드를 위한 확장 가능한 분산 모니터링 시스템입니다. 즉, 클러스터의 사용 상태를 모니터해 주는 오픈소스입니다. Ganglia 장점 메모리, CPU, 디스크, 등, Hadoop, dfs와 관련된 2... 2023.12.05
Linux의 주요 명령어인 fsck/e2fsck 를 알아보자. Linux명령어로, 파일을 복구, 점검해주는 명령어는 어떤 게 있을까? Linux의 주요 명령어인 fsck/e2fsck 를 알아보자. fsck(File System Check)란 Linux의 파일 시스템을 점검하고 복구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 도구는 시스템의 건강과 무결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fsck는 파일 시스템 검사를 수행하여 부적... 2023.12.05
Linux dd 명령어를 사용해 보자. Linux의 중요한 명령어 dd를 알아보자. Linux dd 명령어를 사용해 보자. Ubuntu dd 명령어란 리눅스 시스템에서 중요한 명령어 중 하나이며, 이 명령어를 사용하여 디스크나 파티션의 복사, 이미지 파일 생성, 디스크의 작업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dd 명령어 옵션 bs [Bytes] = 한 번에 읽고 쓸 최대 바이트 크기 지정 c... 2023.11.02
PLEASE WAIT WHILE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