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테크니컬 스토리

아이티마야의 새로운 기술 뉴스를 만나보세요.
기술자료
Linux의 주요 명령어인 fsck/e2fsck 를 알아보자. Linux명령어로, 파일을 복구, 점검해주는 명령어는 어떤 게 있을까? Linux의 주요 명령어인 fsck/e2fsck 를 알아보자. fsck(File System Check)란 Linux의 파일 시스템을 점검하고 복구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 도구는 시스템의 건강과 무결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fsck는 파일 시스템 검사를 수행하여 부적... 2023.12.05
Linux dd 명령어를 사용해 보자. Linux의 중요한 명령어 dd를 알아보자. Linux dd 명령어를 사용해 보자. Ubuntu dd 명령어란 리눅스 시스템에서 중요한 명령어 중 하나이며, 이 명령어를 사용하여 디스크나 파티션의 복사, 이미지 파일 생성, 디스크의 작업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dd 명령어 옵션 bs [Bytes] = 한 번에 읽고 쓸 최대 바이트 크기 지정 c... 2023.11.02
Software Raid을 구성해보자. Software Raid란 무엇일까? Software Raid을 구성해보자 Raid란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 2개 이상의 디스크를 병렬로 처리하여 성능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식입니다. Software Raid 장단점 장점 = 별도의 하드웨어 없이 소프트웨어로만 구현되었기 때문에 하드웨어 구현 방식에 비해 비용... 2023.11.02
UI로 쉽게 관리가 가능한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알아보자.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인 PostgreSQL을 구성해보자. UI로 쉽게 관리가 가능한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알아보자. PostgreSQL이란 오픈 소스 객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ORDBMS]입니다. 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오픈소스는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사용자가 임의로 만들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 많은 기능을 손쉽게 구현할 수... 2023.11.02
오픈소스로 비용 없이 쉽게 클라우드 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Openstack을 알아보자. 가상머신 기반인 클라우드 환경을 구현하는 MultiNode Openstack을 구현해 보자. 오픈소스로 비용 없이 쉽게 클라우드 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Openstack을 알아보자. *전에, SingleNode로 구성했던 Openstack을 이번에는 MultiNode로 구성해 보았습니다. Openstack란 가상머신 기반으로 클라우드 환경을 구현하는 기술입... 2023.10.19
MiniKube란 무엇일까? k8s를 쉽게 구성할 수 있는 Minikube를 설치해 보자. MiniKube란 무엇일까? MiniKube란 무엇일까? ? Minikube는 Kubernetes 클러스터를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되는 오픈소스입니다. Minikube는 Kubernetes 클러스터를 배포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오픈소스 도구입니다. Minikube를 사용하면 로컬 컴퓨터에서 단... 2023.10.06
Ubuntu를 사용하면서 쉽게 백업할 수 있는 오픈소스를 알아보자. Ubuntu를 사용하면서 쉽게 백업할 수 있는 오픈소스를 알아보자. TimeShift라는 이미지 Snapshot 도구를 사용해 보자. Snapshot이란 무엇일까. Snapshot은 마치 사진을 찍는 것처럼, 특정 시간에 데이터 저장 장치의 상태를 별도의 파일이나 이미지로 저장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을 UI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오픈소스가 TimeSh... 2023.09.12
오픈소스를 활용한 서버 / 클라이언트 백업 중앙 관리 / 구성 방안 이미지/파일/증분/중복제거 모두 가능한 오픈소스 백업 솔루션 UrBackup 오픈소스를 활용한 서버 / 클라이언트 백업 중앙 관리 / 구성 방안 백업 솔루션 선택 최근 고객사로부터 랜섬웨어, 채굴 악성코드 등의 피해 사례에 대한 문의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기존의 백업은 시스템의 장애 혹은 DR 개념의 백업이 주요 목적이었다면, 최근 들어 악성코드로 인한 데... 2023.09.04
Docker를 사용하면서, UI로 쉽게 관리할 수 있는 오픈소스를 알아보자. Docker의 Swarm, status, resource 등을 관리할 수 있는 Portainer라는 오픈소스를 구성해 보자. Docker를 사용하면서, UI로 쉽게 관리할 수 있는 오픈소스를 알아보자. Docker Portainer란 무엇일까. Docker Portainer는 Docker 환경에서 컨테이너, 이미지 및 네트워크를 쉽게 관리할 수 있는 Doc... 2023.09.01
실수로 삭제한 데이터를 비용 없이, 오픈소스를 이용하여 복구할 수 있을까? TestDisk로 복구해 보자. 실수로 삭제한 데이터를 비용 없이, 오픈소스를 이용하여 복구할 수 있을까? TestDisk란 GPL라이선스를 가진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이며, 파티션 복구 프로그램입니다. 실수로 데이터를 삭제했거나 파티션이 날아간 상태에서 TestDisk라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로 다시 복구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저의 구성 환경입니다. - OS... 2023.08.08
PLEASE WAIT WHILE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