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GPU Server
8GPU Server
HGX Server
2GPU Workstation
4GPU Workstation
나라장터 등록제품
Compact AI
10GPU Server
WEB Server
WAS Server
고성능 DB
타워형서버
나라장터 등록제품
1CPU Workstation
2CPU Workstation
나라장터 등록제품
Cloud
Open Source
NVIDIA
HCI
Backup
MLOps
HW/SW 유지보수
서버의 BMC(Baseboard Management Controller)에
원격 접속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전용 이더넷 포트이다.
서버를 물리적으로 건드리지 않고도
원격에서 전원 관리, 모니터링, BIOS 설정 변경, 펌웨어 업데이트 등을 가능하게 해준다.
항목 | 설명 |
---|---|
역할 | 서버 하드웨어 원격 관리 (IPMI, Redfish, 웹 UI 등) |
기반 | BMC 칩셋 (예: ASPEED AST2600 등) |
포트 유형 | RJ45 이더넷 포트 (일반적으로 별도로 분리되어 있음) |
프로토콜 | IPMI, Redfish, 웹 인터페이스, SSH |
기능 | 서버 전원 ON/OFF, BIOS 설정, KVM 콘솔, 이벤트 로그 확인, 펌웨어 업데이트 |
전원 상태와 무관 | 서버가 꺼져 있어도 전원 선이 연결되어 있으면 접속 가능 |
IP 설정 | DHCP 또는 Static으로 설정 가능 (BIOS나 BMC 설정에서 지정) |
- 대부분의 서버에서는 BMC 전용 관리 포트가 일반 LAN 포트와 분리되어 별도로 제공됩니다.
- 만약 전용 포트가 구분되어 있지 않은 경우, 기본적으로 첫 번째 LAN 포트가 BMC 겸용 포트로 설정됩니다.
- 워크스테이션 형태의 장비에서는 세로로 세운 기준 상단에 위치한 LAN 포트가 BMC 포트인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1. BMC 포트 와 노트북을 연결
2. BIOS 화면에서 BMC PORT IP 변경
3. 노트북 ip 서버 BMC IP와 같은 대역대로 변경 ex) 192.168.~.~
- 네트워크 쪽에 오른쪽 클릭 → 네트워크 및 인터넷 설정 → 이더넷
4. 인터넷 브라우저로 들어가 [https://서버BMC ip] 입력하면 접속 가능
역할
1. 전반적인 하드웨어 컨트롤
- 서버 원격 관리 (원격으로 화면 보기)
- 전반적인 하드웨어 관리, 모니터링 등 (팬 소음, 로그 확인 등)
2. 바이오스, 펌웨어 업데이트 등
장점
- 서버를 직접 만지지 않고 관리할 수 있음
- 장애 대응 시간 단축
- 장애 발생 시 BMC로 바로 진단/조치 가능
- 운영체제와 무관한 원격 관리
- OS가 꺼졌거나 설치되지 않아도 하드웨어 수준에서 접근 가능
- 서버 다운되었을 때도 진단 및 조치 가능
- 하드웨어 상태 실시간 모니터링
- 팬 고장, 과열 등 센서 기반 실시간 경고 수신
- 로그 저장 가능 → 나중에 분석 가능